목록댓글 (6)
햇살과산책
11번가 들어갔더니 다운.. 오전 9시 15분에서 20분 사이 원인을 찾아보니 디아블로3 한정판 판매때문이라는데..11번가 서버정도면 웬만한 트레픽에 다운되지 않을텐데.. 동시접속자수가 얼마나 되기에 다운까지.. 지금 가보니 열렸습니다..http://www.11st.co.kr/product/SellerProductDetail.tmall?method=getSellerProductDetail&prdNo=407827246 9시부터 판매를 공지했는데 그전에 품절시킨듯..거의 폭풍댓글..판매사에서는 예상 못한것일까? 아니면... 댓글 폭주 9시이전에 매진되었다고 난리치는 댓글 개인적으로 게임에 거의 관심이없어 피부에 와닿지 않지만.. 주변사람들을 보면 이해가가기도..이런 현상이 결론적으로 11번가에 득이될까? 실..

스팸댓글의 공격은 처음인듯한데.. 어제까지만해도 대부분이 티스토리에서 자체적으로 걸러졌지만 오늘은 몇분 사이에 100여개 넘는 댓글이 주르르 달렸습니다. 영문으로 만들어진 댓글이 자동으로 지워진다는 것을 알고있다는 점과 작성자의 링크주소가 대부분이 성인물인점이 눈에 보입니다. IP주소도 다양한 것으로봐서는 여러경로를 경유하는 것으로 보이는 군요... 어눌한 조선족톤의 검찰출두하라는 사기전화가 연상되는 이유는 번역기에서 돌린듯한 내용때문인데 누구의 장난일까? 조금씩 들여다보면 의도적으로 번역기에 돌린것 같이 연출한 것으로 보이기도 하고... 블로그를 운영하면서 이런 형태의 스팸은 처음보는 것인지라... 캡쳐해 둡니다..

오늘 아주 오랫만에 휴지통을 살펴보다 깜짝 놀랐습니다. 9월 이후에 처음으로 보았던것 같은데... 이전에는 이런적이 없던것으로 기억되 꿈에도 생각치 못했습니다. 가끔은 휴지통도 뒤적여봐야 할듯합니다. 개인적으로 아주 마음에 드는 기능가운데 하나인 스팸댓글과 트랙백을 없애는 것이고 나름대로 상당히 잘걸러내는 부분이 존재하기에 별로 에러에 대한 생각이 없었는데, 답변이 늦어진 댓글이나 사라진 트랙백에 혹시라도 기분 나쁘셨다면 죄송하다는 이야기를 드리면서 동시에 제가 인위적으로 삭제한것이 아니니 이해해 주시기 바랍니다.
댓글을 달다보면 해당본문을 잘못읽거나 시일이 지난후에 생각이 바뀔때도 있습니다. 시일이 지난후에 생각을 달리하게 된것은 Klevier님의 블로그에 달았던 것인데 해당포스트 - 무조건 고화질이면 좋은 동영상 서비스인가요? 2007년 5월 18일 달았던 댓글-2007년 5월 18일 저는 직업이 영상제작하는 사람이라 관심이 많은 분야입니다. 현재 대부분의 UCC동영상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비트레이트는 400k-1,1mbps입니다. 엠군같은 경우는 서비스하는 곳중에서 제일 비트레이트가 높은곳인데 이유는 다른곳과 차별성인듯 여겨집니다. 현재 과다하게 경쟁하는 시장에서 비용이 더들어감에도 이체제를 선택한것은 살아남기 위한 방편인듯 합니다. 웹에서 쓰이는 목적으로 기술적인 부분만 따져서 경제성과 범용성 나아가 화질까지..
공지에 적힌대로 블로그 계정을 이전한적이 있습니다. 다행히 테터툴즈에서 티스토리로 이전해서 데이터는 전부 살아났지만 국내외 메타블로그에 등록된 RSS 주소를 모두 수정했던 기억이납니다. 이 과정에서 사라진것들은 이전주소로 달았던 댓글들입니다. 티스토리의 댓글알리미에서는 이전 주소로 작성된 것들은 나타나지 않습니다. 블로그를 시작한지 얼마안되 많지는 않지만 몇개가 더 있는데 어디에 있는지 기억이 나지 않습니다. 소중한 소통의 기억들을 잊어버리기전에 찾는 중입니다. 아래 댓글은 가끔씩 들르는 Goldenlog님의 블로그에 달았던 것입니다. 특이한 것은 이곳의 댓글은 블로그 주소가 바뀌어 해당 링크를 수정했더니 댓글을 쓴 날짜는 5월17일이고 Goldenlog님의 답글은 4월 27일로 나옵니다. 블로그 초기에..
3월부터 블로그를 구축하기 시작했고 나름대로 여러가지 곡절을 가지고 지금까지 운영해 왔습니다. 관련글 100번째 글을 작성하면서.. 초보 블로거의 블로그에 대한 이야기.. 블로그와 정보유통방식에 대한 생각.. 요즘 생각하는 것은 댓글에 관한 것입니다. 처음에는 댓글다는것에 굉장히 소극적이었습니다. 대부분이 댓글까지 달면서 흔적을 남길때는 교류가 없던곳이라면 공감이나 반대를 할때이고 그외에는 친분의 표시나 여러가지 이유의 목적을 가진 느낌의 교류가 있을수 있습니다. 온라인이던 오프라인이던 별로 친분이 없는 사람에게 말을 거는것은 생각보다 쉽지 않습니다. 반응이 없거나 싫어하면 어떡하지 하는 심리가 작용할때도 있습니다. 괜히 혼자서 북치고 장구치고 하는거 아닌가... 가끔은 아주 장문의 댓글을 써놨다가 지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