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제휴 (4)
햇살과산책

유튜브 코리아는 결국 올해안에(몇일남지 않았네요) 오픈하지 못할것으로 보입니다. 이전에 도메인 소유자 확인을 통해서 youtube.kr 도메인은 이미 구글측으로 권리가 넘어갔지만 올여름부터 있었던 한국 유튜브는 보도자료를 통해 이야기했었던 연내 오픈은 힘들것이라고 합니다. 올해 계속 이야기되었던 유튜브의 한국진출은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하지 않을까 하는 관심을 받았고 그 행보를 주목해 왔는데 현재 오픈 준비중이라는 이야기만 들립니다. 아무래도 대선정국에 기인하지 않았을까 하는 관측들도 나오는데 나름대로 신빙성 있는 이야기로 생각됩니다. 실명제 도입으로 인한 변화점과 저작권 문제 그리고 선거로 인한 갖가지 어려운 상황을 피해나가고자 하지 않을까 하는 예측들이 있습니다. 보도자료: 디지털타임스 - 유튜브ㆍ구글..

언제부터인지 올블로그 하단에 판도라TV의 로고가 보였었는데 키워드 검색화면에서 연관이미지 밑에 판도라 TV의 검색결과가 별도로 나옵니다. 검색테스트를 위해 원더걸스라는 키워드로 검색해봤더니 제대로 나오네요. 해당 링크를 클릭하면 판도라TV의 해당영상이 있는 홈피로 이동합니다. 판도라TV는 현재 여러가지 개선 및 시도들을 하고있습니다. 개인적으로 몇가지는 마음에 들지 않지만 (스크린세이버) 플래시 기반을 테스트중이고 콘텐츠관련해서 활발한 시도를 하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아마 내년쯤이면 UCC 동영상의 명암이 뚜렷히 보이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특히 포털에 기반하지않은 동영상 위주의 서비스 업체들은 많은 변화점이 있을것으로 생각됩니다. 개인유저들의 순수창작은 일회적이거나 그리 활발하지 않은편이고 영상으로 고급..
유튜브에 관련된 보도자료들을 되돌아 보면 한국진출 시기는 다음달쯤 서비스를 시작할 것 같으며 진출 초기에는 사용자가 직접 제작한 영상보다 채널을 통한 제휴를 적극적으로 추진할것으로 생각됩니다. 진입 초기의 안정성과 사용자의 주목 두가지 모두를 단기간에 집중시키는 방법으로는 자본력이 있기에 취할수있는 방법중에 적격이라고 생각됩니다. 장점은 국제적으로 알릴수있는 발판이 될 수있지만 기술적인면만 따지고보면 현재 서비스되는 동영상의 비트레이트는 대부분의 국내 업체와 비교가 되지 않을 정도로 떨어지는 편이라 국내에 한정짓는다면 이부분을 개선할수 있겠지만 인터넷망이 다양한 국제적인 서비스는 안정성이 떨어질수도 있습니다.(사람의 시각은 이기적이어서 좋은 화질에 길들여지면 그이전으로 되돌아간듯한 느낌을 싫어하는 경향이..
KBS가 수신료를 4,000원으로 올리려는 시점에 공영방송으로서 동영상 UCC의 저작권을 포기하거나 상당부분 완화시켜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습니다. UCC가이드라인을 제정한분 가운데 하나인 고려대 이대희 교수로 알려졌으며 협소하고 배타적으로 규정된 국내의 저작권법을 이야기 했습니다. 더구나 국민의 세금으로 운용되어 만들어진 콘텐츠에 또다시 저작권료를 부가한다는 것은 어렵다는 의식이 있는 미국의 사례를 들었습니다. 결과적으로 KBS 1TV는 저작권료를 포기하거나 CCL을 적극적으로 도입해야 한다는 주장입니다. 관련 보도자료: 아이뉴스24 - KBS 수신료 논란, 저작권 포기논쟁으로 확대 현재 국회에서 논의중인것과 맞물리면서 어떤식의 결론이 날지 매우 흥미롭습니다. 상당한 설득력이 있는것으로 생각되며 만약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