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플래시 (5)
햇살과산책

MSN SOAPBOX를 사용하는 국내유저는 매우 소수입니다. 저도 아주 오랫만에 방문해 봤습니다. 작년초까지만 하더라도 작년9월 이내에 한글사이트를 개설하리란 이야기가 있었지만 지금은 오간데 없군요. 소프박스를 보다보면 재미있는 아이러니 가운데 하나가 플래시 비디오를 기본 플랫폼으로 잡았다는 점입니다. 물론 초기에 실버라이트는 아직 런칭되기 전이었지만 UCC 동영상이 활성화되기 이전에 WMV 기반으로 웹동영상을 장악했던 MS와 관련깊은 곳이라는 점입니다. 또한가지는 웹으로 배포되는 형식을 지닌 UCC 동영상이기에 이전에 운영체제에 끼워넣어 사용하던 인터넷 익스플로러나 미디어 플레이어의 장악력이 보여줬던 효과가 무용지물이라는 점입니다. MS의 후광을 입고 여러가지 시도를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기도 했..

풀빵 닷컴은 나름대로 독특한 영상들을 접할수 잇는 곳입니다. 풀빵 닷컴은 올해 SK네트웍스로 인수된 상태이고 올초에 처음접했을때는 WMV 기반의 서비스였는데 현재는 플래시 기반으로 바꾼 상태입니다. 역시 업로드는 오랫만에 해봤는데 그사이에 조금의 변화는 있었지만 커다란 변동은 없는것으로 보입니다. 화질은 보통이고 필수는 아니지만 별도의 인스톨을 필요로하는 편집기가 있습니다.동영상 올리기 메뉴에서 편집해서 영상올리기할때 필요합니다. 이 편집기의 기능은 웹용으로 쓰기에 말풍선등 몇몇 기능은 독특하고 괜찮은편에 속하지만 웹아이템몰의 특별한 기능은 유료입니다. 이전에 설명된 동영상 올리기에서 바뀐것은 없는 상태이고 다만 외부퍼가기가 미진했었는데 이부분은 많은 개선을 이룬 것으로 보입니다. UCC 동영상 서비스 ..

판도라TV는 UCC 동영상 업체중에서 가장 오래된 곳입니다. 사용자수가 제일많기에 업체 차원에서 시도되는 것들도 많고 반응을 많이 얻을수 있는 곳입니다. 역으로 불만도 많이 있지만 나름대로 대처를 하려고 노력하는 편이라고 생각합니다. 올한해를 돌이켜보면 이런 노력의 계기가 된것은 역시 그리드딜리버리 방식으로 인한 사용자 PC를 사용한부분이었는데 이를 사용자가 쉽게 알수있는 수준에서의 안내가 아닌 꼼꼼하게 챙겨야만 알수있는 일종의 꼼수(많은 업체에서 사용하거나 시도중인..)로 생각할수 있었는데 웹2.0을 표방하는 기업군(?)에 속하기에 역시 나름의 노력은 하지만 개인적으로는 최근 개편과 더불어 많이 달라진 인터페이스나 구시대적 디스플레이와 기법을 차용한듯한 광고의 사라짐에 잠시 변화의 기운을 감지했지만 역..
어도비의 무비스타 생각보다 빨리 나왔습니다. MS의 실버라이트 때문일까? 현재 웹상에서 쓰이는 ON2의 VP6 코덱은 어차피 SD급에 맞춰진 코덱이고 VP7이라는 HD에 대응하는 코덱이 있지만 여러가지 난점이 있습니다. 우선 HD급에 표준으로 쓰이는 H.264나 VC-1에 비해 실제 적용된 서비스를 본적이 없습니다. 이전에 영어로된 백서를 보고 데모코덱을 보긴 했지만 작동을 제대로 하지않아 테스트 해보지는 못했습니다. 두번째로는 아마 라이센스 비용때문이지 않았을까 하는 추측을 해봅니다. 실상 쓸만한 코덱을 개발하는 것은 막대한 비용과 시간을 요합니다. 이회사의 규모를 생각했을때 코덱 라이센스 비용을 받는것이 유일한 수입원에 가깝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기술개발하는 회사들은 적절한 타이밍에 대한 감각이 없으..
MS, 어도비 플래시에 도전장(ZDNET 기사) 실버라이트 공식 웹사이트 관련 저작툴(날짜제한 트라이얼버전) 관련기사1 관련기사2 MS의 반격이 나왔습니다.. 웹에서 사용되는것은 500k 정도로 만들어졌습니다. 다운로드용 영상을 보니 HD사이즈입니다. 1280*720 프로그레시브. 코덱을 설치해야 제대로 볼수 있습니다. 다운로드받아보니 WMV로 만들어졌고 4mbps정도 됩니다. 이정도면 아직 일반을 상대로 웹에서 직접적으로 실행하기에는 무리가 있습니다. 몇년내 불어닥칠 HD를 염두에 둔듯합니다. 현재 웹캐스팅 시스템 운용비용이 FLV기반이 비용이 더들어가는 것으로 알고있습니다. WMV는 한국에서는 별상관없지만 대체로 윈도우 기반에서만 제대로 돌아갑니다. 이번에 나온 실버라이트는 처음화면에 맥킨토시용을 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