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삼성전자 (6)
햇살과산책
2천만원의 가격과 75인치의 크기때문에 가정집에서는 상류층 소수만 쓰겠지만 매장이나 업무용으로 쓰는곳도 있을듯..실감은 얼마나될지 서초동갈때 한번 보고싶네요.. - 다이아몬드 블랙 패널 탑재로 30% 향상된 선명한 화질 제공 - 초대형 TV 중 가장 얇은 7.9mm 초슬림 베젤 적용 - 사운드 쉐어, 시크릿 카메라 등 한층 향상된 기능 탑재 삼성전자 모델들이 서울 서초동 딜라이트샵에서 초대형 189cm(75형) 스마트TV ES9000을 소개하고 있다. 삼성전자가 전세계 대형 프리미엄 TV 시장 공략을 위한 플래그십 제품을 선보였다. 삼성전자는 지난 2일 고급스러운 디자인과 뛰어난 화질이 특징인초대형 189cm(75형) 프리미엄 스마트TV ES9000(모델명: UN75ES9000F)을 국내에 출시하고 본격..
갤럭시S3 전반적으로 기대되는 제품으로 간간히 디자인에 대한 불만족을 표시한것이 보이기도.. 아직 실물을 본것이 아니라... 쿼드코어 채용에 동작인식 800만화소 카메라(루머에는 1200만 화소가 달릴것이라는 것도 있었는데..) 5월말 유럽부터 시작해 출시예정 - 기술을 넘어 인간 중심으로의 스마트폰 진화 - 얼굴, 눈, 음성, 모션을 인식해 동작하는 ‘인간 중심 사용자환경’ - 사용 편의성을 극대화한 신기술 대거 탑재 갤럭시 S3 영국현지 발표 동영상 삼성전자가 사용자환경, 기술, 디자인 등 모든 분야에 인간 중심 철학이 반영된 새로운 컨셉트의 스마트폰을 선보인다. 삼성전자는 3일(현지시간) 영국 런던 얼스코트(Earls Court)에서 열린 ‘삼성 모바일 언팩’ 행사에서 올해 스마트폰 시장의 최대 기..
실제 체감 성능이 얼마나 될런지 궁금..저전력에 체감할 정도로 성능이 올라가면 획기적일듯..5월에 발표되는 모델이면 갤럭시S3 부터 채용.. - 업계 최초로 32나노 저전력 ‘HKMG’ 공정을 적용한 쿼드코어 AP - 4개의 코어로 병렬 작업과 데이터 분할처리 능력 극대화 - 45나노 ‘Exynos 4 Dual’ 대비 성능 2배 향상, 소비전력 20% 절감 삼성전자가 Cortex™-A9 기반의 코어 4개를 집적한 쿼드코어 AP(Application Processor)‘Exynos 4 Quad’를 본격 양산한다. 이 제품은 5월 공개되는 갤럭시 시리즈의 차기모델에 탑재된다. ※ Cortex™-A9 : 반도체설계 전문 공급업체 ARM社가 설계한 저전력 모바일 CPU 코어. 반도체 업체들은 ARM社의 설계 라..
- 셋톱 박스 추가 구매 없이 간단한 업그레이드로 3D 지상파 방송 시청 - 3D 시험 방송용 고화질 3D 컨텐츠, 방송사와 공동 제작 삼성전자가 스마트TV 3D 고객들이 ‘셋톱 박스(Set-Top Box)’ 없이 간편하게 3D 지상파 방송을 시청할 수 있도록 스마트TV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에 나선다. 이를 통해 현재까지 판매된 모든 삼성 스마트TV 3D를 사용하는 고객들은 간단한 업그레이드로 3D 지상파 방송을 추가 비용없이 시청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방송통신위원회가 국제 표준 채택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듀얼 스트림(Dual Stream)’ 3D 방송 방식에 대응 가능해 향후 한국형 3D 방송 방식이 국제 표준으로 자리잡는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는 스마트TV 3D가 ..

PDP걸 시리즈는 삼성전자에서 UCC 동영상을 활용한 홍보용 영상입니다. 남자 김태희나 카렌스포머의 마케팅이 입소문에 의지한 바이럴 마케팅 방식을 취했다면 PDP걸의 사례는 정공법으로 회사의 상품을 내놓고 시도하는 시리즈로 UCC 동영상을 활용하는 사례로 보입니다. 내용은 주로 PDP에대한 기술적인 특징을 설명하는 것으로 PDP걸이 나와서 여러가지 사례와 에피소드를 곁들이면서 주로 LCD와 비교하는 형식을 취하고 있습니다. 아직은 정서적으로 광고라는 선입견으로 인해 몰입감을 주지는 못하지만(공중파를 이용할때처럼 자화자찬의 방식은 오히려 역효과가 나리라 생각됩니다) 해당 회사입장에서는 적은비용으로 참신한 아이디어를 내놓는다면 시도해볼만한 방식이라고 생각합니다. 더불어 이런방식의 UCC 동영상은 향후 많은 ..

국내 UCC 동영상 서비스 업체중에서 케이블TV의 컨텐츠에 가깝게 구현된 곳이 곰TV입니다. 현재 인텔,코카콜라등과 연계한 마케팅을 펼치고 있는데 삼성전자가 가세한다고 합니다. 예측했던 마케팅 방식이 도입되고 있는데 어떤 방식으로 진행될지 궁금합니다. 모바일PC인 센스큐 시리즈의 홍보영상 및 컨텐츠지원 정도로 알려져 있습니다. 개인생각으로 곰TV는 수익성의 측면에서 접근했을때 가장 정리가 잘된곳으로 파악됩니다. 다만 개인 사용자가 접근하기에는 조금 장벽이 있고(업로드는 가능하지만 시청을 하기 위해서는 곰플레이어가 설치되어야 하고 별도의 컨텐츠 영역에 노출되지 않습니다) 곰플레이어의 사용자 정보 유출 문제가 제기된적이 있습니다. 전문적인 컨텐츠를 공급할수 있는 업체나 사용자는 별도의 수익쉐어 형태를 가지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