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DivX (3)
햇살과산책
이전에 비디오 변환을 해주던 시절.. 방송용으로 쓰이는 베타테잎등을 입수한 경우는 그렇다쳐도.. 유럽이나 호주등지에서 비디오테잎을 가져오거나 보내온것을 가지고있는 VCR에서 틀어보니 치치직 거리다가.. 나오지도 않고..어떤것들은 화면은 나오지 않고 소리가 깨지기도하고... 이리저리 캐묻다 나중에 비디오 방식이 다르기 때문이란것을 알고 황당해 하는 분들도 있었습니다. 왜이렇게 불편하게 여러가지 방식을 쓸까? 지금은 VCR을 생산되는 것도 없고 많이 쓰이지도 않지만 비디오테잎이 아직 대세를 이루던 10여년전만해도 우리나라에서 PAL이나 SECAM방식이 재생되는 VCR은 구하기도 힘들뿐더러.. 더불어 집에있는 TV로 보려면 NTSC로 변환재생되는 기능까지 갖춘것을 구입해야 되는데.. 무지하게 비싼 가격(8년전..

작년에 클라우드님이 알려주셔서 처음으로 가봤던 기억이 납니다. 당시에 4mbps가 넘어가는 동영상을 그것도 스트리밍 방식으로 서비스 한다는 것이 놀라웠습니다. 이정도면 웹에서 서비스하는 것중에서는 최고라 불려도 되는 서비스 였습니다. 이에 걸맞는 소스로 만들어진 영상들이 주로 올라왔기에 더더욱 그랬습니다. 불과 2월 중순까지만 해도 글을 작성할때 링크까지 걸어가면서 HD의 웹에서의 서비스의 사례로 이야기 한적이 있었는데 불과 일이주만에 다른 유저분들의 거봐라.. 그럴줄 알았다 하는 반응과 함께 현재까지도 달랑 서비스를 종료한다는 공지만 달랑 걸려있습니다.(현재 veho라는 서비스로 링크를 유도하고는 있지만 이전같은 서비스가 되기에는 조금 어려운 여건으로 보입니다.) 이정도 화질이면 설치하라는 divx관련..
촬영을 하고 이리저리 편집까지 했는데 사용을 위해 최종 결과물을 뽑아내야 합니다. 대강 찾아보니 DVD가 좋다는 말도 있고.. 왜이리 종류도 많은지.. 몇번 시도를 해봤는데 생각보다 화질이 영안좋거나.. 용량이 너무 크다거나... 또 왜이리 시간이 많이 걸리는지.. 이런 고민들이 생길 수 있습니다. 작업전에 어떤기기에서 어떤매체를 가지고 사용할것인지 생각합니다. 대부분의 시청기기는 TV아니면 PC일 것입니다. 사용할 매체는 DVD,CD,VHS,각종 영상용 파일일 것입니다. 먼저 TV에서 사용할때 DVD MOVIE: 현재시점에서 제일 좋은(?) 선택입니다. 무난한 선택이라 말하는 것이 좋을듯하네요. DVD보다 고화질로 구현되는 것들이 있기는 하지만 문제는 범용성입니다. 가정용 캠코더로 촬영한것중에 요즘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