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웹이야기/기술과 감성의 조화 (21)
햇살과산책
요즘 부쩍 신문기사 모니터링 포스트를 쓰는 이유는 UCC 동영상 서비스의 전망을 가늠질하기 위해서 입니다. 기자가 아니기에 발로뛰며 정보를 취득할수는 없지만 신문기사를 통해 전망을 해보는것도 나름대로 의미있는 것이 될수 있기때문이라는 생각이었습니다. 오늘 매경에 나온 기사를 보니 걱정이 현실화 되는것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다시 고개를 들고있습니다. 보도자료: 매일경제 - 잘나가는 UCC 실적은 엉망 한국경제 - UCC 인기 `거품` 이었나 업체입장에서 보면 설상가상으로 이전 포스팅에서 말했듯 일일 10만이상 사용자를 가지는 서비스는 각종 규제책이 많이 질것으로 예상됩니다. 매경기사를 참고하면 대부분의 업체가 적자에 허덕이고 지속적으로 시스템에 투자를 해야되는 상황입니다. 현재 광고수익으로는 이부분이 채워..
판도라TV가 대원엔터테인먼트와 제휴로 23일부터 재팬애니메이션을 무료 서비스한다고 합니다. 보도자료: 아이뉴스24 - 판도라TV, 재패니메이션 452편 무료 공개 대부분의 포털에서 유료로 서비스되는 것들을 무료 서비스에 1m급 고화질(웹용기준)로 서비스 예정이라고 합니다. 다음은 UCC에 상당히 공을 들이고 네이버는 시기만 저울질하는 분위기 속에서 동영상 서비스 위주의 사이트들은 점점 입지가 좁아지고 있는 형태입니다. 더구나 판도라TV는 이전에 사용자 PC의 사용형태로 비난에 직면했었는데 나름대로 발빠른 대응을 해왔습니다. 대원엔터테인먼트와 광고수익을 배분하는 형태로 제휴를 했다 하는데 이면에는 사용자의 불법업로드로 인한 분쟁의 소지에 대한 대비책으로 여겨지기도 합니다. 기존의 K1실황이나 프로야구 생중..

장애인 인식개선을 위한 UCC 사이트가 열렸습니다. 어제 네모상자님의 포스팅을 통해 알게되었습니다. 웹사이트 - 조아유 http://www.joau.or.kr/ 서울 장애인종합 복지관이 주관하는 곳이고 영상과 이미지를 올릴수 있습니다. 서비스의 기반은 플래시고 웹호스팅으로 유명한 오늘과내일에서 만든 동영상 서비스 시스템입니다. 영상은 20분 분량까지 가능하다고 나옵니다. 개인적으로 장애인관련 영상은 올릴만한 것이 없어(데이터가 없는 것이 아니라 저작권이 없습니다) 아쉽지만 테스트는 진행이 어려울듯합니다. 업로드직전까지의 과정은 일반 UCC동영상 서비스를 이용해보신 분이면 주의할점은 없습니다. 업로드 메뉴를 누르면 액티브X 설치 과정이 나옵니다. 지원하는 포맷은 avi,wmv,mpg,mov,k3g,skm이..
http://www.hoochoo.com 아마 처음 접한것은 2000년으로 기억합니다. 솔직히 스포츠신문류의 이야기만을 접하다, 이곳에서 보여주는 깊이있는(개인적으로 깊이라는 것은 열정과 애정에서 출발한다고 생각합니다) 스포츠 칼럼들에 많은 감명을 받았습니다. 현재는 몇개의 게시판만 열어놓고 명맥한 유지하는 형태지만 빨리 부활의 날개짓을 하길 기원합니다. 스포츠기자들도 들락거릴 정도로 영향력을 유지했고 그만큼의 깊이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아마 지금같은 블로그스피어 현실에서 블로그 형태로 운영했다면 상당한 영향력과 울림을 주었으리라 생각됩니다. 이당시에 작성한 몇몇 칼럼들은 곳곳에서 여러형태로 스크랩된 것들을 만날수 있지만 아쉬움이 아주 많이 생깁니다. 제일 기억에 남는것은 차범근에 관한 디테일한 이야기를..
저작권이 강화되면서 특히 음악쪽은 많은 논란과 파장이 있었습니다. 불법인줄은 알지만 시대적 흐름에 뒤쳐진 공급자의 서비스와 맞물려 사회적인 이슈가 되기도 했습니다. 외국의 사례를 보면 CCL이라는 제도로 많은부분 보완을 시도했고 나름대로 성과들도 보입니다. 제가 알고있는 무료 음원은 몇가지 주의사항만 지키면 제작하시는 분이나 이용을 원하시는 분들에게 조금은 도움이 될듯싶어 간단하게 정리해 보았습니다. 주의사항은 상업적으로 이용이 가능한지 불가능한지 정의를 내리셔야합니다. 사적으로 이용하는것은 크게 무리가 없지만 웹사이트에 게시한다던가 소스로 이용하실때는 라이센스를 살펴보시길 바랍니다. CCL마크가 표기된 것은 해당 라이센스를 참고하시면 됩니다. 대부분이 저작물에 원저작자과 곡명을 표기하도록 되어있고 원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