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식집사 (4)
햇살과산책

가을로 들어선 구월말에 들어온 다육이는 에케베리아 풀리도니스(echveria pulidonis)로 여제 혹은 황홀한연꽃으로 불립니다. 산본시장 초입에 있는 화원에서 데려왔는데 우리집 환경에서 장마철 전후로 제일많이 떠난게 로제트가 넓게 펼쳐진 종류라 조심스럽게 다루는중입니다. 손톱끝에 남은 봉숭아 끝물같은 무늬를 가진 에케베리아 풀리도니스 산본시장 화원에서 구입할때 쓰여진 이름은 디테일 꽃처럼 넓게 펼쳐진 로제트 형태를 가진 다육이에 대한 지난 장마철의 기억이 스치며 고개를 절래절래 흔든 초보 다육러 초반보다는 일부러 많이 줄였지만 여전히 재래시장이나 화원을 지날때면 습관처럼 둘러보게됩니다. 이날 같이 들여온건 야로수로 불리는 하월시아로 가을에 구입한 다육이들은 매우 건강한편입니다. 크라슐라속에 들어가는..

열대지역 식물들은 낯선 이질감의 간격이 사라지기 시작하면 놀라운 매혹을 선사하는 식물입니다. 그중에 하나인 알로카시아 오도라입니다. 공원산책할때나 가끔 집주위에 심어놓은 토란과 똑같은 모습인데 여름한철에 돋보이는 야외의 풍경과 다르게 실내에서 사철내내 기를수 있는 품종입니다. 토토로가 나올것 같은 분위기... 생긴건 비슷하지만 조금 다른 알로카시아는 토란처럼 식용으로 쓸수 없다니 혹여나 실험정신 강한분들은 주의를 요합니다. 집으로 데려온지 한달 가까이 되어가는 가운데 새로나온 두개의 잎사귀 새로 개장된 안산 식물원에 있는것들은 신비하게 다가왔는데 우연히 이마트트레이더스에 갔다 보이기에 무거움을 무릅쓰고 얼떨결에 데려오게 되었습니다. 마지막으로 남아있어 아주 저렴하게 세일중이었는데 묵직한 토분에 담겨있어 ..

비모란(緋牧丹 Gymnocalycium mihanovichii)은 목단옥(牧丹玉 Gymnocalycium mihanovichii var. friedrichii)이라는 남미(파라과이)원산의 원종을 개량해 만든 선인장입니다. 기대하지 않았는데 꽃을 피운 비모란 목단옥(牧丹玉)은 광합성을 자체적으로 하지 못하기에 생명력을 기르기위해 삼각주 대목을 접목해서 만들었습니다. 접목선인장(Grafted cactus) 비모란은 우리나라에서 개발 재배되어 많이 수출되는 품종으로 붉은색 노란색 핑크색 주황색등 다양한 색상을 만날수 있습니다. 최근에 방문한 경기도농업기술원의 선인장다육식물연구소에서는 이런 품종들을 개발하고 연구하는 곳입니다. 고양시에 있는데 다육식물이나 선인장에 관심있는 분들은 한번 방문해 보시는것을 권해드립..

개인적으로 식물이라면 오래전 신혼초기부터 시작해 관리부족으로 보내버린것들이 하나하나 떠오릅니다. 키우기에 난이도가 낮다는 고무나무도 겨울에 급사한 것을 비롯해 이런저런 바쁨으로 한동안 방치해서 사라진것들도 부지기수였습니다. 그래서 나는 식물을 키우기에는 안되는 손인가보다 포기한지 오래되었습니다. 시골살이 한번 안해본 아내와 나는 오랜기간 공원산책으로 계절의 변화를 몸소 경험하면서 꽃과 식물에 대한 소소한 관심이 있었습니다. 최근에는 관심이 더욱 커지면서 산책코스로 가볼수있는 인근 화훼단지인 이동 꽃마을에 들락거렸지만 앞서 말한 사라진 집안의 식물들을 생각하면서 같은 상황을 재현할까봐 엄두를 내지 못하곤 했습니다. 그렇게 몇번 지나치다 눈에 들어온건 만화에서 튀어나온듯한 괴마옥.. 하지만 쓴웃음 교환하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