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2007/08 (45)
햇살과산책

이상한 아이피주소가 떠서 따라가 봤더니 다음커뮤니케이션에서 사용하는 아이피 주소입니다. 어떤 용도로 쓰이는 것인지 모르겠지만 내부적으로만 사용하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그런데 사용하는 문구는 고쳐야할듯... 하단의 그림과 같은 문구가 나와서 개인서버에서 누가 장난하는줄 알았습니다. 아이피추적을 해보니 다음커뮤니케이션에서 쓰는 아이피 대역이네요. 222.231.40.139/wstools/site_check/index.py?p=625 만약 해킹당한것이라면 더문제이고 실제로 다음에서 쓰이는 것이라면 수정하실 것을 권하고 싶네요.. (오늘따라 우연한 여러계기들로 의도하지 않았던 글들을 많이 쓰게되네요.. 지금 해당글도 보시리라 생각합니다. 개인적으로 블로깅에 대해서 다시한번 고민을 해봐야할듯합니다) 222.231..

리퍼러를 살펴보다 누군가 제 포스트를 퍼갔는데 몇가지 문제가 있어 작성합니다. 블로그를 살펴보니 펌블로거라 하기에는 내용이 많지않은편이고 한가지 주제로 필요한 내용을 스크랩해서 개인적인 용도가 강한것으로 보입니다. 더불어 관련글의 링크들이 살아있고 제블로그에 적용된 CCL을 생각하면 이의를 제기할만큼의 의도적인 불펌으로 생각되지는 않습니다. 이런식의 사용자에게 퍼가지말라 이런말 하는것은 인정상 너무한 측면이 있기는 하지만 부득이하게 기술적인 몇가지 장치 때문에 삭제해달라고 부탁했습니다. 어떤식으로 퍼갔는지 모르겠지만 테터의 플러그인으로 활성화시킨 콜백기능이 무력화 되어있습니다. (아마 콜백기능이 활성화되었다면 파란색 영역에 들어갔으리라 생각됩니다) 그리고 레버의 위젯과 애드센스의 추천광고가 그대로 노출되..

몇일전부터 보도자료만 나오고 해당 사이트는 열리지 않았는데 티저 사이트가 열렸네요. 피플랭킹은 UCC동영상을 다른방향으로 활용하는 콘텐츠들이 나오는 시발점이라고 생각됩니다. 이전에는 단순히 링크된 형태로 보여주는 것들이 있기는 했지만 말그대로 단순히 퍼간것으로 구성된 것들이었습니다. 기존의 동영상 UCC 사이트들은 아직까지 응용 단계가 자사의 관련사업이고 현재상태는 콘텐츠를 모으는데 집중하고 있습니다. 아직 정식오픈되지 않아 어떤식의 서비스를 선보일지 모르겠지만 새로운 시도들이 나오길 기대합니다. 피플랭킹은 8월 20일 정식 오픈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이곳에 플랫폼에 상관없이 자신의 UCC동영상을 링크시키고 평가를 받는동시에 수익배분에도 참여할 수 있고 스폰서를 구할수도 있다고 합니다. 순수 제작물에 한..

애드센스는 유튜브에서 이야기한 수익배분 모델로 쓰일것이라는 예상이 있습니다. 현재 대부분의 UCC 동영상 서비스 업체들은 영상광고가 주요 수익원이고 몇몇 업체는 수익배분의 근거이기도 합니다. 앞뒤로 들어간 광고때문에 약간 짜증스러운면도 있지만 공중파나 케이블TV의 영상광고를 생각하면 그럭저럭 봐줄만합니다. 다만 짧은 영상에 장시간의 광고가 보이면 거북스러울때가 있습니다. 블로그를 운영해보기 전에는 애드센스에 대해서 저런게 효과가 있기나할까 하는 의문이 많이 들었습니다. 웹사이트에서 CPC방식이 아닌 구매에따른 수익을 나눠주는 광고를 게재해본적이 있기에 효과가 거의 공짜로 해당 업체나 상품 광고해주고 끝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세달정도 애드센스를 사용해보니 기존의 구매로 이어진 수익배분보..
업무중 전화... 보험들으라는 이야기.. 귀찮아서 됐다고 했는데 계속 붙들고 주절주절... 그럼 보험상품명 이야기 해주면 약관 찾아보고 괜찮으면 전화드리겠습니다.. 약관은 가입후에만 볼수 있어요.. 세상에 그런게 어디 있습니까? 지금 통화하는거 녹음되는거 아시죠 하루에 얼마만 절약하면... (지긋지긋하고 제일 싫어하는 동어반복) 됐습니다.. 찰칵 재미있는 영상: 출처 - 풀빵닷컴 아마 여러번씩 경험했을법한 풍경입니다. 실제로 보험은 살면서 필요한부분이고 특히 아이가 생기면 혹시나 하는 마음에 보험을 덜컥 들거나 알아보게 됩니다. 여러가지 패키지로 묶어서 엄마와 아빠를 혼동속에 빠트리게하기도 합니다. 사회적으로 보험 사기단이 존재하기에 보험회사의 횡포는 같이 물타기되는 경향이 많습니다. 최근에 보험분쟁이 ..

제로보드가 드디어 일반 유저를 상대로 오픈되기 시작했습니다. 많은 기대와 NHN인수로 인한 약간의 논란속에서 드디어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제로보드5 버전에서는 스마티 때문에 한참 헤매다 사용하지 않았던 기억이 납니다. 기존의 제로보드버전에 익숙했기때문이기도 하지만 일반적으로 프로그래머보다는 일반유저들이 디자인 위주의 제작이 많았기 때문이 아닌가 생각됩니다. 그사이에 성장한 그누보드나 제로보드에서 도입한 블로그로인해 설치형 블로그에 어떤 영향을 몰고올지 궁금해 집니다. 프로그래머의 이야기를 잠깐 귀동냥하면 스마티는 상당히 강력한 언어라고 하지만(제가 사용해봤던 것중에 리퍼러 추적하는 aokio_analyzer라는 것이 기억납니다) 범용적으로 쓰이기에는 유저층이 습득하는 시간때문에 무리가 있었던 것으로 생..

이틀전 잠자던 네이버의 동영상 서비스가 기지개를 켜기 시작했습니다. 이전 포스팅에서 많이 거론했듯이 이전 서비스인 네이버 플레이를 개인적인 이유로 사용하지 않았었는데 네이버의 영향력같은 것을 체험하고 싶은 생각에 모니터링을 해봤습니다. 저는 주로 개인동영상을(연출이나 편집의 기교없이 일상에서 만들어진 영상) 가지고 UCC(UGC - 네이버와 관련해서는 이두가지를 병기할 생각입니다) 동영상 서비스하는 곳들을 전전했습니다. 일상의 풍경을 담은 동영상은 많은 반응을 얻기가 힘듭니다. 특히 동영상 UCC를 전문적으로 서비스하는 곳에서는 더욱 그렇지만 대부분이 재미삼아 혹은 개인적인 기록을 하는 의미에서 접근하기에 크게 괘념치 않는 모습입니다. 관련된 업을 하는 사람으로 경험을 바탕으로 이야기한다면 촬영기기의 구..

그동안 테스트 하면서 올렸던 동영상 대부분이 그다지 흥미없는 것들이라 많은 호응을 얻은적이 없었습니다. 대부분이 일상적이고 지극히 사적인 것들이라 불펌에 대해서 염려차원에서 몇번 이야기한적이 있었지만 전반적으로 UCC(UCG)동영상 서비스 자체에 대한 호감에 묻혀있었고 초기에 있었던 공중파의 불법 사용은 많이 사라진 것으로 알고있습니다.(이면에는 UCC 동영상이 순수하게 만들어지는 것들이 적다는 면에 있기도 합니다.) 플래시 기반은 여러가지 장점에도 불구하고 영상소스가 너무 쉽게 노출된다는 점입니다. 아직 영상시장이 무르익지 않았기에 DRM을 도입하기 애매할지 모르지만 추후에 필연적으로 도입해야 합니다. 이번에 경험한 것은 불펌에 대한 것인데 작년에 과천대공원에서 촬영한 코끼리의 모습이었습니다. 엠엔캐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