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동영상 (4412)
햇살과산책

SK커뮤니케이션과 다음 TV팟의 동영상을 엠파스에서 검색이 가능하도록 제휴를 맺었다고 합니다. 더불어 유튜브의 동영상도 검색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어제 개편한 네이버 비디오 서비스는 제 경험으로는 이전보다 조금 완화된 모습을 보였는데 웹사이트 주소를 명기한것은 이전의 네이버 플레이에서는 많은 제재를 했었는데 지금은 허용을 합니다 (개인 블로그주소는 허용하는데 상업적인 목적의 웹사이트 주소는 모르겠습니다.) 엠파스는 동영상 서비스를 직접하기보다 이용하는 쪽으로 방향설정을 한것으로 보입니다. 서비스가 시작되면 검색량은 현재 최고의 수준으로 알려져있습니다.(1억2천만개의 동영상) 현재 검색해보니 유튜브의 동영상을 추가한 아이콘이 보입니다. 관련 보도자료 : 세계일보 - 엠파스 국내 최대DB 동영상 검색 서비스..

네이버가 기존의 동영상 서비스인 플레이를 네이버 비디오로 개편하였습니다. 네이버 비디오 - http://video.naver.com 네이버 비디오의 공지사항 - 플레이가 비디오로 새로워졌습니다. 기본적인 업로드나 사용방법은 기존의 네이버 플레이와 같습니다. (그냥올리기로 업로드시 불편한점은 업로드중에 동영상 올리기 버튼과 하단의 내용을 쓰는 사이의 공간을 클릭하면 업로드 창이 갱신됩니다. 이 공간은 업로드 완료후에 인코딩 상황이 나오는 공간입니다. 브라우저 IE6.0) 최대 100메가 5분이내의 동영상 화질은 좋은편(약800-900kbps)이고 기본해상도는 500*375입니다. 블로그의 관련글 - UCC 동영상 올리기 - 네이버 플레이 - 조금 정리해보면 어제 정식오픈한 파란의 푸딩TV처럼 장면마다 리플..
클레비어님의 글을 읽고 몇가지 생각난 부분이 있어 작성합니다. UCC제작자는 CP가 아니다 (UCC제작에 대한 보상문제에 관하여) 아마 UCC동영상에 대한 보상시스템을 먼저 거론한건 사용자가 아닌 서비스 업체였던 걸로 생각됩니다. 이말은 뒤집어서 보면 사용자의 적극적인 참여를 끌어내기위한 방법중에 하나였습니다. 더불어 언론에 이런말을 하면서 반사적인 관심을 얻기도 했습니다. 유튜브도 구글에 인수된 이후에는 사용자 보상시스템에 대해 거론하기도 했습니다. 개인적인 생각으로 프로슈머라는 것이 대두되면서 생긴 사회적 현상이라는 관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수익배분이 아직 전반적으로 활성화된것도 아니고 낙관적인 전망만 있는것도 아닙니다.) 유튜브의 성공사례는 클레비어님의 이야기도 적절하지만 반대로 사용자가 있었기에..
어제 우연히 보게된 칼럼이 이글을 쓰게 만들었습니다. 어제와 오늘 정리하면서 작성했지만 뭔가 미진한 부분이 자꾸 걸리적거립니다. UCC 동영상 제작에 아주 적극적인 사용자도 아니고 해당업체와 관련있는 것도 아닌데 오버하는 것은 아닌가 하는 생각이 스치고 지나갑니다. 그래도 이런 흐름이 지속되길 바라는 사용자 입장에서 몇가지 끄적거려 봤습니다. 출처는 엘리스온이라는 미디어아트 웹진이고 조동원씨가 작성한 글입니다. + [colurmn] UCC와 신자유주의 미디어문화 + [column] UCC과 신자유주의 미디어문화 2부 주목할만한 내용은 2부에 있는 유연착취에 있습니다. 예를 든것이 유튜브의 인수에 관한것인데 UCC 동영상은 사용자들의 업로드로 인해서 형성된것들입니다. 인수로인해 막대한 이익을 얻었지만 사용..

국내 UCC 동영상 서비스 업체중에서 케이블TV의 컨텐츠에 가깝게 구현된 곳이 곰TV입니다. 현재 인텔,코카콜라등과 연계한 마케팅을 펼치고 있는데 삼성전자가 가세한다고 합니다. 예측했던 마케팅 방식이 도입되고 있는데 어떤 방식으로 진행될지 궁금합니다. 모바일PC인 센스큐 시리즈의 홍보영상 및 컨텐츠지원 정도로 알려져 있습니다. 개인생각으로 곰TV는 수익성의 측면에서 접근했을때 가장 정리가 잘된곳으로 파악됩니다. 다만 개인 사용자가 접근하기에는 조금 장벽이 있고(업로드는 가능하지만 시청을 하기 위해서는 곰플레이어가 설치되어야 하고 별도의 컨텐츠 영역에 노출되지 않습니다) 곰플레이어의 사용자 정보 유출 문제가 제기된적이 있습니다. 전문적인 컨텐츠를 공급할수 있는 업체나 사용자는 별도의 수익쉐어 형태를 가지고..

전세계를 연결하는 시민VJ의 뉴스사이트라고 합니다. 정식 오픈은 8월1일입니다. http://www.spottv.kr/ 동영상을 이용한 오마이뉴스와 비슷한 형태로 생각되고 태그스토리의 플랫폼을 사용합니다. 회원은 일반회원과 시민VJ로 구분되고 동영상 3편 제출후에 시민VJ자격을 심사한다고 합니다. 현재 시민VJ는 국내1천명 해외 250명정도 된다고 합니다. 이 서비스는 매경기자 출신들이 주축이 되어 만들었다고 합니다. 수익모델은 포털 및 케이블TV,IPTV등에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과 사업장이나 상점등을 연계한 홍보영상을 특허출원해 광고수익을 올릴예정이라고 합니다. 보도자료: 미디어오늘 - 동영상과 시민기자가 만났다 UCC 동영상이 좀더 세분화된 형태로 분리되어 전문성을 가지거나 개인의 홈페이지처럼 변모하..
수족관의 하마가 날아가듯 수영하는 모습과 하마끼리 싸우는 모습입니다. 하마가 순한줄 알았는데 이전에 과천에서 발악하는 하마의 모습을 본적이 있는데 무섭더군요. 실제로 코끼리나 사나운 육식동물들도 하마를 쉽게 건드리지 못한다고 합니다. 강력한 이빨이 있어서 그렇답니다. 과천에서 찍은 영상은 분량이 길어 편집후에 올리겠습니다.(언제될까...) 출처: revver.com 저작자: nalts When Hippos Fly 출처: revver.com 저작자: Zack Scott Hippo F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