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동영상 (4412)
햇살과산책

마이크로소프트에서 그동안 출시되었던 윈도우 운영체제의 변천사 동영상입니다. 사용자가 가장 많기에 불만도 많았던 그리고 실제 성능도 불만이 많기는 하지만 최고의 성능과 대중성은 조금 다를수도 있다는 면을 보여주기도한(맥킨토시의 운영체제와 비교한다면 당시에 빌게이츠를 마케팅의 귀재로 묘사한 것들을 컴퓨터 관련 잡지에서 보던 기억이 납니다.) 어찌되었건 컴퓨터의 대중화에 가장 많은 기여를 하기도했고 동시에 그 이상의 경제적 혜택을 가져간 MS 운영체제들의 모음영상입니다. 감회가 새롭네요. 고등학생시절 친구집에 있던 애플컴퓨터를 오락기 대용으로 놀던때랑... DOS 시절과 윈도우 3.1 시절에는 PC 자체에 관심이 없었고 동생이나 친구들이 하는것을 가끔 쳐다보던 시절이었습니다. 그러다 우연찮게 초기 팬티엄 PC..

픽스카우 웹사이트가 리뉴얼을 단행했다고 합니다. 기존의 디자인이 바뀐 부분도 있지만 픽스카우 서비스의 가장 특징인 영상 오픈마켓의 특성을 더욱 강화하는 방식으로 바뀌었다고 합니다. 기존의 분리되어있던 영상판매를 myshop이라는 관리메뉴를 별도로 분리시켜 관리를 할수있게 만들었고 영상 플레이어 사이즈의 크기변경이라던가 몇가지 변화가 있었다고 합니다. 플레이어의 크기는 새로 영상을 올려봐야 인코딩되는 크기가 변경된 것인지 사이즈를 늘리기만 한것인지 알수있을것 같지만 일단 기존에 올려진 것들도 픽셀이 늘려진 형태로 보여집니다. 이전에 선보인 옥션 상품광고와의 연관성 광고는 아직 매칭이라는 측면에서 조금 어색한편이고 서비스 업체의 직접적인 수익이라 연관성의 측면에서 아직은 떨어지지만 해당 물품 판매자와 연계라..
UCC 동영상이 활용되는 것중에 사회고발 혹은 조선시대의 신문고처럼 억울함을 이야기하는 창구로 이용되기도 합니다. 일전에 모극장에 관한것이나 체벌하는 교사, 동네 주민들을 폭행하는 폭력배에서 부터 어린이집 원장의 아이 치사사건까지.. 참으로 다양하기도 하고 때로는 선정적인 부분도 존재하고 어떤부분은 앞뒤 맥락이 빠져있기에 애매할수도 있지만 새로운 형식의 여론의 장이 될수도 있습니다. PD수첩에서 다음주부터 10분정도 할애해서 새로운 코너를 만들예정이라고 합니다. 새로운 코너는 PD가아닌 아나운서로 현재 백분토론에서 시청자 UCC를 소개하는 손정은 아나운서라고 합니다. 관련보도자료: 오마이뉴스 - 확 달라진다... 생방송에 아나운서 진행 제가 알기로는 PD수첩은 외압에 굴복하지 않는걸로 유..

UCCC는 클릭당 1원이라는 시스템을 들고나왔고 조금지난 보도자료를 보면 투잡이라며 소개하는 부분도 있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영업방식이나 홍보방식이 지나치게 선정적이지 않을까라는 생각에 회원가입도 하지 않은 상태이지만 어느정도 성향이 맞지 않으리라는 것은 알수 있었기에 직접적인 리뷰를 한적도 없었습니다.(개인적으로 스팸트랙백을 지속적으로 보내던 곳에서 사용하는 불펌 영상물을 플레이 시키는 것이 이곳의 것이라 편견이긴 하지만 부정적인 시선을 가지게 하는데 한몫하기도 했습니다) 관련 보도자료: 프라임경제 - UCC커뮤니티, 색다른 알바 오늘 다음블로그의 공지사항을 보다가 UCCC의 동영상 링크를 제한한다는 내용을 보고 무슨일이 있긴 있었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지만 지나친게 아닐까 했습니다. 영업이나 서비스 방..

대선 관련 동영상 서비스는 여러 포털과 판도라TV등에서 이미 선보인 적이 있습니다. 엠군에서도 이번 2007 대통령선거 관련해서 페이지를 오픈했습니다. 선거일이 지나면 효용성이 없어진다는 점을 감안하면 조금 늦은것이 아닐까 생각되기도 하지만 현재 선관위의 규제 양상을 보면 조금 맥빠진 느낌이 들기도 합니다. 현재 압축된 후보들인 권영길,문국현,이명박,이인제,정동영 관련된 영상들과 거리인터뷰 및 셀프인터뷰를 등록할수 있고 간단한 코멘트를 남길수 있습니다. 2007년 대통령선거 - 엠군의 웹페이지 대선다큐-대선 여러분의 선택은 대선다큐-후보단일화 이번 대통령선거의 가장 크게 주목할수 있는 부분은 역시 여권의 후보단일화가 가능할지 여부와 이명박후보의 독주가 어느시점에 어느정도까지 가능할지에 초미의 관심사가 달..

앤유에서 위젯 서비스를 개설했습니다. 개인적으로 처음써보고 현재도 사용중인 동영상 위젯은 레버에서 제공하는 것으로 블로그 하단에 보시면 해당 위젯을 보실수 있습니다. 저희 블로그에 가끔씩 오시는 앤유 기획자이신 도이모이님의 이야기를 통해 앤유에서도 준비중이라 들었는데 오늘 보도자료들을 보니 정식으로 오픈을 했네요.. 제 기억에 앤유를 처음 접해봤던 올초에도 비슷한 것이 있었던것으로 생각되는데 착각인지 모르겠습니다. 당시에 기능이 구현되지 않았던 것으로 생각되는데... 보여주는 스킨들이 전혀 낯설지 않아서..... 앤유 위젯 사용 설명 웹페이지 앤유 위젯은 국내에서 선보이는 것은 처음으로 생각됩니다. 앤유 위젯은 부가적으로 현금보상제도를 접목해서 한번 플레이시마다 0.6원씩 적립된다고 합니다. 앤유 위젯을..
소리바다 사이트에 접속해본지 5년은 넘은것 같네요. 그동안 어떤식으로 서비스되었는지 모르겠지만 음원파동이후로 벅스에도 거의 가보지 않았습니다. 음반사를 비롯한 저작권자들의 주장은 필터링이 소극적이라 말하고, 소리바다측은 기술적인 부분은 어느정도 완성도를 갖춘것이라 필터링을 강화해도 현재와 비슷하다는 주장입니다. 그리고 1심에서 승소했기에 2심에서 뒤집어지리란 예상을 하지못해 당황하는 모습을 엿볼수 있습니다. 보도자료를 찾아보니 주로 경제관련 미디어에서 주로 취급을 하네요. 경제적으로 민감한 부분이라 소리바다 주가는 큰폭의 하락을 했습니다. 소리바다의 패소로 인해 제일 큰 수혜를 받은곳은 엠넷미디어로 전해지고 있으며 현재 소리바다는 2개월 정도 지속할수 있는 서비스 기간중에 강력한 필터링 시스템을 선보일 ..
이글은 라디오키즈님의 동영상 전문사이트... 당신의 기준은 무엇입니까 라는 글을 보고 작성했습니다. 현재는 동영상 UCC가 사용자나 서비스제공자나 나름대로 관심의 집중을 받고 있습니다. 올해 들어 다음의 행보를 보면 상당히 공을 들이는 서비스중에 하나입니다. 개인생각으로 업체수가 과도하게 많은 측면이 있기는 하지만 사용자 입장에서 보면 즐거운 현상이라고 할수도 있겠습니다(언제까지 무료 서비스가 포괄적으로 가능할지는 조금 의문이 들때가 있기는 합니다. 뒤집어서 말하면 유료화는 문닫겠다는 소리와 비슷하고 시장에서 얼마나 살아남을수 있을까 주목됩니다.) 개인적으로 관심이 있는 분야라 여러곳에 업로드 및 사용을 해본 결과로는 기능상의 커다란 차이점은 없다고 생각합니다. 화질도 SD급(일반 사용자 기준으로 HD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