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5396)
햇살과산책

이틀전 잠자던 네이버의 동영상 서비스가 기지개를 켜기 시작했습니다. 이전 포스팅에서 많이 거론했듯이 이전 서비스인 네이버 플레이를 개인적인 이유로 사용하지 않았었는데 네이버의 영향력같은 것을 체험하고 싶은 생각에 모니터링을 해봤습니다. 저는 주로 개인동영상을(연출이나 편집의 기교없이 일상에서 만들어진 영상) 가지고 UCC(UGC - 네이버와 관련해서는 이두가지를 병기할 생각입니다) 동영상 서비스하는 곳들을 전전했습니다. 일상의 풍경을 담은 동영상은 많은 반응을 얻기가 힘듭니다. 특히 동영상 UCC를 전문적으로 서비스하는 곳에서는 더욱 그렇지만 대부분이 재미삼아 혹은 개인적인 기록을 하는 의미에서 접근하기에 크게 괘념치 않는 모습입니다. 관련된 업을 하는 사람으로 경험을 바탕으로 이야기한다면 촬영기기의 구..

그동안 테스트 하면서 올렸던 동영상 대부분이 그다지 흥미없는 것들이라 많은 호응을 얻은적이 없었습니다. 대부분이 일상적이고 지극히 사적인 것들이라 불펌에 대해서 염려차원에서 몇번 이야기한적이 있었지만 전반적으로 UCC(UCG)동영상 서비스 자체에 대한 호감에 묻혀있었고 초기에 있었던 공중파의 불법 사용은 많이 사라진 것으로 알고있습니다.(이면에는 UCC 동영상이 순수하게 만들어지는 것들이 적다는 면에 있기도 합니다.) 플래시 기반은 여러가지 장점에도 불구하고 영상소스가 너무 쉽게 노출된다는 점입니다. 아직 영상시장이 무르익지 않았기에 DRM을 도입하기 애매할지 모르지만 추후에 필연적으로 도입해야 합니다. 이번에 경험한 것은 불펌에 대한 것인데 작년에 과천대공원에서 촬영한 코끼리의 모습이었습니다. 엠엔캐스..

SK커뮤니케이션과 다음 TV팟의 동영상을 엠파스에서 검색이 가능하도록 제휴를 맺었다고 합니다. 더불어 유튜브의 동영상도 검색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어제 개편한 네이버 비디오 서비스는 제 경험으로는 이전보다 조금 완화된 모습을 보였는데 웹사이트 주소를 명기한것은 이전의 네이버 플레이에서는 많은 제재를 했었는데 지금은 허용을 합니다 (개인 블로그주소는 허용하는데 상업적인 목적의 웹사이트 주소는 모르겠습니다.) 엠파스는 동영상 서비스를 직접하기보다 이용하는 쪽으로 방향설정을 한것으로 보입니다. 서비스가 시작되면 검색량은 현재 최고의 수준으로 알려져있습니다.(1억2천만개의 동영상) 현재 검색해보니 유튜브의 동영상을 추가한 아이콘이 보입니다. 관련 보도자료 : 세계일보 - 엠파스 국내 최대DB 동영상 검색 서비스..

블로그의 공지에서도 이야기 했듯이 티스토리로 계정을 옮긴 이유는 호스팅사의 불안정한 서비스였기 때문이었습니다. 다음에서 하는것이 설마... 한두번은 애교로 넘어갈수 있습니다. 요즘은 수시로 그러네요.. 무료라고 강변하면 할말은 없지만 나름대로 공신력을 가진 기업에서 적극적으로 의지를 내비치면서 서비스하는 분야라는 점을 감안하면 아쉬움이 많습니다. 웹서비스 1,2년 한 기업도 아니고... (싼게 비지떡이면 공짜는 뭐가될까...) 이런 현상이 자주 발생하것 같으면 접속이 안되는 상황에서 다른 URL로 리다이렉션 시키는 플러그인을 배포하는 것이 사용자를 위한 배려가 될수도 있겠습니다. 그나저나 이런상황이 자주 발생하면 메타블로그들도 나름대로 피해를 보겠네요. 이사를 또 가야되나(한번 해봤기 때문에.. 정말 짜..

네이버가 기존의 동영상 서비스인 플레이를 네이버 비디오로 개편하였습니다. 네이버 비디오 - http://video.naver.com 네이버 비디오의 공지사항 - 플레이가 비디오로 새로워졌습니다. 기본적인 업로드나 사용방법은 기존의 네이버 플레이와 같습니다. (그냥올리기로 업로드시 불편한점은 업로드중에 동영상 올리기 버튼과 하단의 내용을 쓰는 사이의 공간을 클릭하면 업로드 창이 갱신됩니다. 이 공간은 업로드 완료후에 인코딩 상황이 나오는 공간입니다. 브라우저 IE6.0) 최대 100메가 5분이내의 동영상 화질은 좋은편(약800-900kbps)이고 기본해상도는 500*375입니다. 블로그의 관련글 - UCC 동영상 올리기 - 네이버 플레이 - 조금 정리해보면 어제 정식오픈한 파란의 푸딩TV처럼 장면마다 리플..

파란이 블로그에 광고달기 기능을 선보인이후에 동영상 부분에도 새로이 정리된 서비스를 선보였습니다. 이전에 나인테일님이 이야기해준 일본의 니코니코동화처럼 영상 중간에 리플을 달수있고 화면에 보여주는 방식을 선보였습니다.(국내 현실을 감안하면 악플처리 문제가 생길수도 있습니다. 리플을 끄고 볼수 있는 기능이 있습니다) 주요특징: 연속으로 동영상시청, 영상 중간에 리플달기, 16:9 화면지원, CCL도입 푸딩 TV 서비스 사이트: http://pudding.paran.com/mov_intro.html 푸딩 공식 블로그: http://blog.paran.com/paranpuding 푸딩 서비스 소개 및 사용자 가이드: http://pudding.paran.com/index_new/indexGuide.php 푸딩..
클레비어님의 글을 읽고 몇가지 생각난 부분이 있어 작성합니다. UCC제작자는 CP가 아니다 (UCC제작에 대한 보상문제에 관하여) 아마 UCC동영상에 대한 보상시스템을 먼저 거론한건 사용자가 아닌 서비스 업체였던 걸로 생각됩니다. 이말은 뒤집어서 보면 사용자의 적극적인 참여를 끌어내기위한 방법중에 하나였습니다. 더불어 언론에 이런말을 하면서 반사적인 관심을 얻기도 했습니다. 유튜브도 구글에 인수된 이후에는 사용자 보상시스템에 대해 거론하기도 했습니다. 개인적인 생각으로 프로슈머라는 것이 대두되면서 생긴 사회적 현상이라는 관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수익배분이 아직 전반적으로 활성화된것도 아니고 낙관적인 전망만 있는것도 아닙니다.) 유튜브의 성공사례는 클레비어님의 이야기도 적절하지만 반대로 사용자가 있었기에..
어제 우연히 보게된 칼럼이 이글을 쓰게 만들었습니다. 어제와 오늘 정리하면서 작성했지만 뭔가 미진한 부분이 자꾸 걸리적거립니다. UCC 동영상 제작에 아주 적극적인 사용자도 아니고 해당업체와 관련있는 것도 아닌데 오버하는 것은 아닌가 하는 생각이 스치고 지나갑니다. 그래도 이런 흐름이 지속되길 바라는 사용자 입장에서 몇가지 끄적거려 봤습니다. 출처는 엘리스온이라는 미디어아트 웹진이고 조동원씨가 작성한 글입니다. + [colurmn] UCC와 신자유주의 미디어문화 + [column] UCC과 신자유주의 미디어문화 2부 주목할만한 내용은 2부에 있는 유연착취에 있습니다. 예를 든것이 유튜브의 인수에 관한것인데 UCC 동영상은 사용자들의 업로드로 인해서 형성된것들입니다. 인수로인해 막대한 이익을 얻었지만 사용..

국내 UCC 동영상 서비스 업체중에서 케이블TV의 컨텐츠에 가깝게 구현된 곳이 곰TV입니다. 현재 인텔,코카콜라등과 연계한 마케팅을 펼치고 있는데 삼성전자가 가세한다고 합니다. 예측했던 마케팅 방식이 도입되고 있는데 어떤 방식으로 진행될지 궁금합니다. 모바일PC인 센스큐 시리즈의 홍보영상 및 컨텐츠지원 정도로 알려져 있습니다. 개인생각으로 곰TV는 수익성의 측면에서 접근했을때 가장 정리가 잘된곳으로 파악됩니다. 다만 개인 사용자가 접근하기에는 조금 장벽이 있고(업로드는 가능하지만 시청을 하기 위해서는 곰플레이어가 설치되어야 하고 별도의 컨텐츠 영역에 노출되지 않습니다) 곰플레이어의 사용자 정보 유출 문제가 제기된적이 있습니다. 전문적인 컨텐츠를 공급할수 있는 업체나 사용자는 별도의 수익쉐어 형태를 가지고..

전세계를 연결하는 시민VJ의 뉴스사이트라고 합니다. 정식 오픈은 8월1일입니다. http://www.spottv.kr/ 동영상을 이용한 오마이뉴스와 비슷한 형태로 생각되고 태그스토리의 플랫폼을 사용합니다. 회원은 일반회원과 시민VJ로 구분되고 동영상 3편 제출후에 시민VJ자격을 심사한다고 합니다. 현재 시민VJ는 국내1천명 해외 250명정도 된다고 합니다. 이 서비스는 매경기자 출신들이 주축이 되어 만들었다고 합니다. 수익모델은 포털 및 케이블TV,IPTV등에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과 사업장이나 상점등을 연계한 홍보영상을 특허출원해 광고수익을 올릴예정이라고 합니다. 보도자료: 미디어오늘 - 동영상과 시민기자가 만났다 UCC 동영상이 좀더 세분화된 형태로 분리되어 전문성을 가지거나 개인의 홈페이지처럼 변모하..